강학 [2024 검정고시 지원사업 프로그램 운영기관 관계자 직무연수] 연수 내용 정리
작성일 24-11-10 19:26
페이지 정보
작성자
본문
2024 검정고시 지원사업 프로그램 운영기관
관계자 직무연수
2024년 11월 7일 / 오후 2시 / 프레지던트 호텔
참석자: 임승택, 김동기, 김수연
1. 성인학습자 맞춤형 검정고시 학습자료를 활용한 영어 교수법
1) 영어 강의 능력 강화를 위한 툴
l 단어학습 관리: 클래스카드 홈페이지 사용(www.classcard.net)
l 발음 자료: 클래스카드 홈페이지 사용(www.classcard.net)
- 내가 원하는 문장을 입력하면 원어민 발음이 담긴 음성 파일 얻을 수 있음
- MP3 파일이 제공되지 않는 교재 사용 시 유용하게 사용 가능
l 독음 자료: 파파고 번역기 사용(https://papago.naver.com/)
- 영문장 입력 시, 독음본을 제공함
2. 2024 검정고시 지원사업 추진 경과 보고
1) 검정고시 프로그램 운영 지원
l 지원기관 선정
- 33개 프로그램 운영기관, 4개 거점기관(울산시민학교, 수원제일평생학교, 안산용신학교, 경산우리학교) 선정
- 2023년 총 60개 기관이었던 것에 비해 대폭 축소됨
l 지원금 교부 현황
- 2023년, 60개 기관에 총 4.437억원 지원했었음
- 2024년, 37개 기관에 총 2.73억원 지원함
l 검정고시 프로그램 운영기관 중간점검
- 올해 6~8월에 걸쳐, 거점기관 4개가 각각 관할 프로그램 운영 기관에 방문하여 점검 및 컨설팅을 진행함
- 해당 기간, 울산시민학교가 신당야학에 방문하여 중간점검을 실시한 바 있음
l 검정고시 프로그램 운영기관 중간점검 및 컨설팅 결과
*중간점검 당시 아래와 같은 의견이 프로그램 운영기관으로부터 제안되었음.
|
- 위의 의견에 대하여 국가평생교육진흥원에서는 이러한 내용을 인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시정해나가겠다고 답함
- 의견①에 대해서는 즉각 조치 가능
- 의견②는 예년에도 꾸준히 제기되어왔던 의견이나, 교육부의 긴밀한 협조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근시일 내에 이뤄지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보임
2) 검정고시 제도 활성화 및 네트워크 지원
l 성인학습자 맞춤형 검정고시 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
- 21년 제작된 중졸-고졸 검정고시 수학, 영어 과목 자료 개정본을 제작 중에 있음
- 실물교재는 12월 중에 배포할 예정
- E-book은 검정고시지원센터 홈페이지(https://www.gumsi.or.kr/)에 업로드 될 예정
l 검정고시 지원센터 자문 위원회 개최
- 검정고시 지원사업 기간을 매년 1회 검정고시(4월) 준비 기간까지 포함될 수 있도록 앞당기기 위해 노력 중에 있음 (교육부에서도 해당 문제에 대해서 인식하고 있다고 함…)
l 검정고시지원센터 홈페이지 운영
- 검정고시 지원센터 홈페이지(https://www.gumsi.or.kr/)에서 16개 시도 교육청의 검정고시 공고문/기출문제/성인학습자 맞춤형 강의자료 등 확인 가능
3. 분임토의 내용 정리
*분임토의 시간에 공유된 타 기관의 운영 사례들 중 유의미한 내용을 선별하여 기록하였습니다.
1) 학습자 모집 및 관리
l 주변 기관과의 협력(지역 자원 적극 활용)
- 기관 근방에 있는 시립 도서관과 협약을 맺어 상부상조형으로 홍보하는 사례가 소개됨
- 주변 대학과 협약을 맺어 디지털 기기 등을 지원받고 대학 입학도 지원하는 사례가 소개됨
l 외국인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수업 운영 사례가 소개됨
l 홍보 방안: 포스터, 현수막, 아파트 게시판 전단지, 버스 광고, 지인 소개, SNS 등
l 결석 학생 관리: 결석한 학생에게 유선 전화를 통해 참석 독려
2) 교-강사 운영 및 교재 활용
l 자원 봉사를 통한 교-강사 모집의 한계
- 현실적으로 관리자 입장에서는 자원봉사 교-강사에게 추가적인 요구 사항을 지시하는 것이 어려우므로, 검정고시지원센터 등에서 자원봉사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기를 바란다는 의견이 제시됨
- 퇴직 교원단체에서 퇴직 교원에게 수업료를 제공하는 제도가 있으니 활용하는 방안이 제안됨
l [학습자 수준 맞춤별 학습 자료 제작(ex. 파닉스 교재 등) + 개인 과외처럼 추가 수업 진행] 사례가 공유됨
l 검정고시지원센터 제작 교재 피드백
- 검정고시지원센터에서 교재를 제작할 때에 고령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너무 높은 난이도의 파트는 빼고 필수 요소만 포함하는 방안이 제안됨
- 강사가 학습자 수준을 고려하여 내용을 적절히 취사 선택하여 수업을 운영하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됨
3) 학습자 성과 관리
l 대학과의 협약
- 고졸 검시 과정 학생들의 대학 입학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, 학생들의 학습 의욕까지 고취할 수 있음
- 지방 대학의 경우, 입학생 미달로 어려움을 겪는 케이스가 많아 대학에서도 호의적인 반응을 보인다고 함
l 고령층 학생은 검정고시를 3번 응시하도록 유도
- 과목합격제를 활용한 검시 합격률 제고 방안
- 첫 번째 시험에서 암기 과목을 합격해놓은 뒤, 영어-수학 과목에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는 전략
l 과목별 차별화된 학습 전략 수립
- 학습자들의 평균 나이대가 고령이고 학습 능력이 낮은 상황에 반해, 학생들은 모든 과목에서 100점 받기를 원하며 특히 고난도 과목인 영어-수학에 대한 의욕이 높은 편. 이러한 학습자의 성향이 검시 합격에는 불리하게 작용함
- 교사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과목별 학습 전략을 다르게 짜고, 전과목 평균 점수는 60점 이상으로 맞추는 데에 집중해야 함
4. 추후 이행 과제
1) 네이버, 구글 등에 검색했을 때에 신당야학이 상위에 노출될 수 있는 방안 모색
추천0
첨부파일
- 2024년 검정고시 지원사업 프로그램 운영기관 관계자 직무연수_연수 내용 공유자료.pdf (181.7K) 1회 다운로드 | DATE : 2024-11-10 19:26:55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